수의임상교육정책위원회에서는
- 대학 임상교육 기준안 마련(교육과목과 시간)
- 임상실습 시간과 내용 기준안 마련
- 진료과 세분 및 교수증원을 위한 기준안과 대회 홍보
활동계획(2020~2021)
가. 위원명단
회원명단
|
성명(가나다 순) |
대학 |
비 고 |
1 |
이기창
|
전북대
|
위원장
|
2 |
강병재
|
서울대
|
|
3 |
김근형
|
충북대
|
|
4 |
김민수
|
서울대
|
|
5 |
김승준
|
경북대
|
|
6 |
나기정
|
충북대
|
|
7 |
서경원
|
충남대
|
|
8 |
유도현
|
경상대
|
|
9 |
윤영민
|
제주대
|
|
10 |
이성림
|
경상대
|
|
11 |
정진영
|
강원대
|
|
12 |
최지혜
|
전남대
|
|
나. 정책 제안
- 수의학교육 정책 방향
- 문제점: 임상을 포함한 수의학교육 전반에 대한 재검토와 방향 설정 필요
- 현황: 한국수의과대학협회(한수협) 교육위원회에서 정책과제로 수의학교육 방향 설정 노력 (2016 ~ 현재)
- 대안: 수의 교육 표준화 정책 수립 시 한수협과 내용 공유와 협의
- 기대효과: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공감대 형성에 기여
- 수의임상교육 내실화 방안 마련
- 문제점: 수의 임상교육에서 실습 교육의 부족 및 동물 실습 어려움
- 현황: 반려 및 산업 동물실습 축소 또는 부재, 평창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 활용
- 대안: 임상교육 실습 내실화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, 생동물대체 동물모형 실습 활성화 방안 마련 (정부예산 획득 위한 정책기획안으로 전국 수의대 공동대응방안)
- 기대효과: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공감대 형성에 기여
다. 계획
- 수의과대학 임상교육의 기준안과 발전안 마련
- ‘2019 수의학교육 학습성과 모델’ 보고서 활용방안 마련
- 각 대학 순회 설명회 개최
- 임상수의학회 활용
▸ 별도 세션 기획
▸ 학회 참가 임상교수 임시회의 기획
- 수의사양성을 위한 임상실습과 내용기준안 마련
- 한국수의과대학협회 교육위원회(위원장 류판동 교수) 주관 수의학교육 임상술기 표준안 연구 내용 공유 및 협력
- 진료과목 세분화 방안과 증설 진료과목에 관한 연구
- 대학별 진료과목 취합 및 분석
- 진료과목 표준화 안 마련
- 임상 전임교수 증원과 확보 방안에 관한 기획과 대외 홍보
- 대학별 임상 전임교수 확보 현황 파악
- 대학별 임상 전임교수 증원계획 파악
- 대학별 분석 자료 공개 및 임상전임교수 증원 필요성 홍보
▸ 대한수의사회, 데일리벳 과 연계